반응형
2030 직장인을 위한 은퇴 자산 전략 ③
연금저축 vs IRP: 절세부터 투자까지 완전 비교
❓ "둘 다 연금인데 뭐가 다르죠?"
연금저축과 IRP는 비슷해 보이지만, 다릅니다.
한쪽만 가입해도 되지만, 둘 다 활용하면 절세 + 자산 형성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요.
📊 연금저축 vs IRP 핵심 비교표
항목연금저축계좌개인형 IRP
가입 대상 | 누구나 (직장인, 자영업자, 무소득자) | 근로자 중심 (자영업자 포함) |
연간 세액공제 한도 | 400만 원 (50세 이상 600만 원) | 700만 원 (연금저축과 합산 시 총 900만 원) |
자유납입 | 가능 | 가능 (퇴직금 수령 시 의무 이전 가능) |
투자 가능 상품 | 예금, 펀드, ETF 등 다양 | 예금, 펀드, ETF, TDF 등 다양 |
중도 인출 | 일부 가능 (소득세 부과) | 원칙적 금지 (해지 시 기타소득세 16.5%) |
수수료 | 증권사별로 다양 (낮은 곳도 많음) | 최근 증권사 중심으로 낮아짐 |
운용 유연성 | 상대적으로 높음 | 퇴직금 포함 시 제약 있음 |
💸 세액공제 예시 (연 900만 원 납입 시)
- 총 급여 5,500만 원 이하: 세액공제율 16.5%
→ 약 148만 원 세금 환급 효과 - 총 급여 5,500만 원 초과: 세액공제율 13.2%
→ 약 119만 원 세금 환급 효과
🎯 IRP + 연금저축을 함께 쓰면 세금 환급 + 연금 자산 확보까지 이득
📦 어떤 사람에게 어떤 계좌가 좋을까?
- ✅ 연금저축이 유리한 경우
→ 자유롭게 운용하고 싶은 사람
→ 무소득자나 소득이 불규칙한 프리랜서
→ IRP 중도 인출 제한이 부담스러운 사람 - ✅ IRP가 유리한 경우
→ 퇴직연금 통합 관리하고 싶은 직장인
→ 연금저축 + IRP 모두 활용해 절세 극대화하고 싶은 사람
→ TDF, ETF 자동 리밸런싱 전략을 활용하고 싶은 사람
✅ 데이타렌즈의 결론
“2030 직장인이라면 ‘세액공제는 기본값’으로 가져가야 합니다.
여유가 된다면 연금저축 + IRP를 함께 활용해
절세 + 은퇴 자산이라는 투트랙 전략을 추천합니다.”
반응형
'3.투자 인사이트 (Investment Insights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시리즈 2편] 중개형 ISA & IRP 100% 활용법: 절세와 투자, 둘 다 잡아라 (0) | 2025.04.04 |
---|---|
[시리즈 1편] 40~50대 직장인을 위한 은퇴자산 전략: 지금 준비하지 않으면 늦습니다 (0) | 2025.04.04 |
2030 직장인을 위한 은퇴 자산 전략 ② (0) | 2025.04.03 |
2030 직장인을 위한 은퇴 자산 전략 ① (0) | 2025.04.03 |
글로벌 수요 변화와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금·구리·우라늄 원자재 ETF 투자 전략 분석 (4) | 2025.04.03 |